세상 밖으로
대동맥 박리 증상과 대동맥 박리 원인 본문
심장 조직 내에 있는 대동맥 내벽이 손상이 되어서 찢어져서 혈액을 운반하는데 문제가 발생하는 질환을 대동맥 박리 증상이라고 합니다. 대동맥의 내벽이 찢어지게 되면 생명에 위협이 되는 응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대동맥의 내벽이 찢어지는 박리 증상이 생기면 상처 부위와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심각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대동맥 박리 원인에 따라서 치료 방법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대동맥 박리 증상과 대동맥 박리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대동맥의 내벽이 손상을 입게 되고 찢어지게 되면 극심한 가슴 통증과 허리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동맥 박리 증상이 있으면 심장 부위에만 통증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방사통으로 인해서 허리 부위에까지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통증이 길게 올 때도 있지만 극심한 통증이 짧게 나타날 수도 있고 간헐적인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동맥의 박리가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두 번째 통증은 심한 복통입니다. 위궤양 증상이나 충수염 등이 있을 때 나타나는 복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대동맥의 내벽에 박리 증상이 생긴 부위에 따라서 어깨나 턱, 목, 팔 등에 통증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네 번째, 대동맥 박리로 인해서 신경학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대동맥의 내벽이 찢어지게 되면 뇌로 유입되는 혈류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몸의 마비 증상이 오거나 기절을 하거나 어지러움증이 올 수 있고 말이 어눌해질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 호흡을 하는 것이 힘들어질 수 있고 실제로 호흡 곤란이 오기 때문에 폐로 유입되는 혈류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여섯 번째, 갑작스러운 고혈압 증상을 유발하거나 양팔에서 혈압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일곱 번째, 대동맥의 박리가 있으면 맥박이 희미해지거나 맥박이 없기도 합니다. 대동맥 박리 원인에 대해서 정확하게 규명되지는 못했지만 이러한 증상을 유발하는 몇 가지 요인들이 있습니다. 먼저 고혈압 증상이 있는 환자들이 대동맥의 내벽이 손상될 확률이 높습니다. 혈압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내벽에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기 때문에 손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동맥 박리 원인으로 결합 조직의 장애가 있을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동맥의 판막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박리 증상이 심해질 수 있는데 이첨판 대동맥 판막의 이상이나 대동맥 판막 협착증 등으로 인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외상으로 인해서 대동맥 파열되고 찢어질 수 있습니다. 추락 사고를 당하거나 자동차 사고 등으로 인해서 가슴에 외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동맥의 내벽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연령의 증가로 인해서도 대동맥 내벽이 손상될 확률이 조금씩 높아지게 됩니다.
생리적인 변화와 호르몬의 변화가 발생하는 임신 기간에 대동맥의 내벽이 약해지기 때문에 임산부는 대동맥의 내벽에 손상을 입을 확률이 높습니다. 흔한 사례는 아니지만 동맥 경화증이 있는 경우에도 대동맥의 내벽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 외에도 대동맥 박리를 일이키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동맥 내벽의 손상으로 의심되는 증상들이 발생하면 지체하지 말고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이상으로 대동맥 박리 증상과 대동맥 박리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질병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암의 호흡곤란 증상 (0) | 2023.07.14 |
---|---|
복부 대동맥류 인공혈관 수술과 복부 대동맥류 검사 방법 (0) | 2023.06.29 |
하지정맥류 증상과 하지정맥류 수술비용 (0) | 2023.05.30 |
심방세동 증상과 심방세동 치료 방법 (0) | 2023.05.15 |
원발성 폐동맥 고혈압 증상과 폐동맥 고혈압 치료 방법 (0) | 202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