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밖으로

안구건조증 증상과 안구건조증 완화하는 방법 본문

질병건강 정보

안구건조증 증상과 안구건조증 완화하는 방법

해피송송 2024. 9. 17. 23:52

명절 동안 장시간 운전을 하다 보면 눈이 쉽게 피로해지거나 건조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장거리 운전으로 인해 밀폐된 차량 내에서 눈이 쉽게 건조해지고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증상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서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통계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안구건조증 진단을 받은 환자는 매년 평균 249만 명에 이른다. 안구건조증은 발병 후 완치가 쉽지 않으며, 시간이 지나면 눈의 노화나 시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방과 적절한 관리가 중요하다.

 



안구건조증의 주요 증상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충분하지 않거나 눈물이 빠르게 증발하여 눈이 자극을 받는 상태를 말한다. 눈의 건조감, 이물감, 작열감, 충혈, 흐릿한 시야, 피로감 등이 주요 증상이다. 또한,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갑자기 많이 나거나 빛에 민감해지는 현상도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들은 대개 오후가 되면 더욱 심해지며, 두통을 동반하는 경우도 많다. 심한 경우에는 눈부심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증상이 악화되면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안구건조증의 원인
눈을 보호하는 눈물막은 세 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점액층, 수성층, 지방층이 바로 그것이다. 이 중 하나라도 제대로 기능하지 않으면 눈물막이 불안정해져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게 된다. 눈물막의 불균형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원인은 노화이다. 나이가 들면서 눈물 생성이 줄어들어 자연스럽게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눈꺼풀에 염증이 생기는 눈꺼풀염도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염증을 먼저 치료해야 건조증이 호전될 수 있다.

 



콘택트렌즈 착용 역시 안구건조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소프트 렌즈는 착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눈의 산소 공급을 방해하여 건조감을 유발한다. 렌즈 착용 권장 시간은 보통 6~8시간이므로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다.

생활 습관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컴퓨터나 휴대폰을 자주 사용하는 현대인들의 경우, 장시간 화면을 응시하면 눈 깜빡임이 줄어들어 눈물이 증발하기 쉽다. 대기 오염, 건조한 환경 등 외부 요인도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키는 요소 중 하나이다. 드물게는 만성 자가 면역 질환인 쇼그렌 증후군, 라식 수술 후 후유증, 갑상선 질환, 만성 피로 등도 안구건조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안구건조증 예방 및 관리 방법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눈의 휴식을 취하는 것이다. 장시간 운전이나 컴퓨터 작업을 하는 경우, 2시간마다 10분씩 휴식을 취하면서 눈을 쉬게 해주는 것이 좋다. 눈을 감고 눈동자를 상하좌우로 천천히 움직여주는 안구 스트레칭은 눈의 피로를 풀어주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차 안의 건조한 공기가 눈을 더 건조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는 것이 좋다. 창문을 닫고 운전할 때는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눈을 자주 깜빡이는 것도 중요한데, 이는 눈물을 고르게 분포시켜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온찜질 역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다. 38~43도의 따뜻한 물수건을 이용해 눈꺼풀을 덮어주면 눈 주위의 기름샘이 막힌 것을 풀어주고 눈물막을 강화할 수 있다. 하루에 5분에서 10분 정도 꾸준히 온찜질을 해주면 눈의 피로가 줄어들고 건조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안구건조증 치료 방법
안구건조증이 심해져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안과 전문의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 안약이나 디쿠아포솔나트륨, 사이클로스포린 안약 등의 처방을 받게 되며, 경우에 따라 눈물 연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심각한 건조증이 있는 경우 눈물의 배출구를 막아 눈물이 안구에 더 오래 머물도록 하는 시술을 고려할 수 있다.

 



염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IPL 시술이 추천되며, 중증의 안구건조증에는 자가혈청(PRP) 안약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치료 방법은 환자의 증상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치료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눈 건강 관리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일상 생활에서의 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실내에서 활동할 때는 가습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적절히 습하게 유지하고, 컴퓨터 작업을 할 때는 화면을 너무 오래 응시하지 않도록 주기적인 휴식을 취해야 한다.

 



또한, 과도한 화면 사용을 피하고 자연광에서 눈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야외 활동 시에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선글라스를 착용해 눈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충분한 수분 섭취와 균형 잡힌 식단은 눈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

결론적으로, 안구건조증은 관리가 필수적인 질환이며, 증상이 심해지면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적절한 예방법과 관리 방법을 실천하여 눈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눈은 일상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작은 불편함이라도 무시하지 않고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