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밖으로
신생아 황달 증상과 원인 본문
요즘은 많은 아기들이 태아 때부터 크고 작은 선천적 질환들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유전적인 질환을 가지고 태어나는 경우도 있고 신체적인 장애들을 가지고 태어나기도 합니다. 출생 후에도 아기들은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각종 바이러스와 세균에 매우 취약한 상태입니다. 엄마의 뱃속 환경에서 안정감을 가지고 있다고 외부 환경에 적응해 나가면서 인체의 적응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신생아 황달 증상은 신생아의 60% 정도가 경험하는 흔한 질환입니다.
신생아 황달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생리적 황달 증상으로서 많은 신생아들이 인체의 적응 과정으로서 경험하는 증상입니다. 태어나서 증상이 발현된 후에는 대부분 일주일 정도가 지나면서 증상이 좋아집니다. 미숙아인 경우에는 2주 정도가 지나면 자연스럽게 증상이 개선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대부분의 신생아들은 별도의 치료를 해주지 않아도 심각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없이 증상이 좋아지게 됩니다. 두 번째 신생아 황달 원인은 병적인 황달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신생아 황달 원인이 혈액 내에 있는 빌리루빈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병적인 황달을 가지고 태어나는 아기는 이러한 빌리루빈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15 mg/dL 이상을 넘어갈 때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신생아 황달 증상이 생리적인 문제인지 병적인 문제인지 진단을 한 후에 병적인 황달인 경우에는 병원에 가셔서 진료를 받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신생아에게서 나타나는 황달은 성인들에게서 발병하는 증상과는 다릅니다.
신생아 황달 증상이 개선되지 않고 빌리루빈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뇌신경계에 악영향을 끼쳐서 손상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때는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서 증상을 개선해야 합니다. 인체의 대사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빌리루빈 성분은 다양한 처리 과정을 통해서 대장과 소장을 거쳐서 배출이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들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을 때는 체내에 축적이 됩니다. 빌리루빈은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물에 잘 녹는 성분이 있고 잘 녹지 않는 성분이 있습니다.
분유를 먹는 아기에 비해서 모유를 먹는 아기에게서 황달 증상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모유 수유의 양이 부족해서 영양공급의 불균형으로 칼로리와 수분의 부족으로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모유 수유를 하는 경우에는 하루에 10번 이상은 수유를 하도록 해야 합니다. 황달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모자 동실을 하도록 해서 엄마가 아기에게 모유 수유를 더 많이 하도록 해주는 것이 생리적인 황달 증상을 개선하는 방법입니다.
황달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모유 수유만 잘 해주어도 증상이 빨리 개선될 있습니다. 하지만 모유 수유를 열심히 해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고 빌리루빈 농도가 높아지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며칠 정도 모유를 끊고 분유를 먹이면 대부분 황달 증상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분유를 먹인 후에 황달 증상이 좋아진 후에 다시 모유를 먹이게 되면 다시 증상이 나빠지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간혹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도 빌리루빈 농도가 낮아지지 않을 때는 입원을 해서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병적인 문제가 있어서 발생하는 신생아 황달은 다양한 질환들로 인해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황달 증상이 1~2주가 지나도 빌리루빈의 농도가 낮아지지 않을 때는 대부분 병적인 문제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특정한 질환을 가지고 태어난 경우에는 주의 깊게 관찰을 하면서 치료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신생아 황달을 치료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광선 요법을 시행하게 되는데 관성 요법으로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을 때는 선천적으로 감염성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담즙이 정체하는 증상이 있거나 담관의 폐쇄증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빌리루빈의 농도가 혈액 속에서 지나치게 높아지는 경우에는 뇌조직까지 빌리루빈 성분이 침투하여서 신경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핵황달이라고 하는데 후유증이 매우 심하고 사망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신생아 황달이 빨리 개선되지 않을 때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황달이 있는 아기가 모유나 분유를 잘 먹지 않고 힘이 없고 근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는 아기가 경련을 일으키고 전신 뻣뻣해지기도 하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신생아 황달 증상과 신생아 황달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질병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달 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과 황달에 좋은 음식 (0) | 2020.12.13 |
---|---|
황달 수치 정상범위와 치료 방법 (0) | 2020.12.10 |
후두암 초기증상과 생존율 (0) | 2020.12.03 |
급성 후두염 증상과 후두염에 좋은 차 (0) | 2020.12.02 |
후두염 증상과 후두염에 좋은 음식 (0) | 2020.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