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밖으로

소변 배출과 요도 협착 등을 진단하는 방광요도조영검사 방법 본문

질병건강 정보

소변 배출과 요도 협착 등을 진단하는 방광요도조영검사 방법

해피송송 2023. 2. 9. 21:05

요도를 통해서 조영제를 주입한 후에 X선 영상 촬영을 진행하는 검사를 방광요도조영검사라고 방법이라고 합니다. 조영제를 주입해서 방광의 기능적인 부분과 문제가 되는 구조 등을 영상 촬영을 통해서 살펴보는 검사입니다. 방광에서 소변의 배출이 원활하게 잘 되고 있는지? 신장이나 요관으로 소변이 역류를 하는 것은 아닌지? 요도 부위가 좁아져 있는 것은 아닌지? 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방광암이나 전립선암, 전립선 비대증, 요도협착 등의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서 검사를 진행합니다.


배뇨장애가 있어서 소변 배출에 문제가 있거나 요로감염이 빈번하게 발생할 때에도 방광요도조영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하부 요로 질환이 의심되거나 소변의 역류, 방광 질환 등이 의심되는 경우에도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방광요도조영검사를 받기 전에는 금식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평소에 복용하고 있는 약물을 복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식사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검사를 진행하기 전에는 금속으로 된 장신구나 액세서리 등은 몸에서 제거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검사 직전에 화장실에 가서 소변을 본 후에 시작을 합니다. 검사대 누워 있으면 요도 입구를 소독한 후에 관을 삽입해서 검사를 진행합니다. 관을 삽입할 때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1차적으로 조영제를 투여한 후에 요도 정면과 측면 사진을 촬영합니다. 2차적으로 방광의 정면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 조영제를 추가로 투여하게 됩니다.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10분~20분 정도입니다. 이러한 검사 외에도 방광의 내부까지 조영제를 주입한 후에 소변 배출을 하면서 문제가 없는지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를 배뇨 방광요도조영검사라고 하는데 신우신염이 자주 발생하는 환자에게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방광 내에 남아 있는 소변이나 방광요도 역류 현상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조영제를 투여하는 검사들은 검사가 종료된 후에 조영제가 빨리 배출될 수 있도록 수분을 공급을 많이 해주어야 합니다. 검사가 끝나면 일정 시간 동안 소변의 잔뇨감을 느낄 수 있고 소변 시에 통증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검사 후에 소변에 혈뇨를 보일 수도 있는데 증상이 심하다면 병원에 가봐야 합니다. 이상으로 소변 배출과 요도 협착 등을 진단하는 방광요도조영검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