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밖으로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과 팔에 힘이 안 들어가고 손통증 있을 때 본문

질병건강 정보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과 팔에 힘이 안 들어가고 손통증 있을 때

해피송송 2019. 7. 18. 15:23

부상으로 인해서 팔을 다치거나 어깨를 다쳐서 팔에 힘이 안 들어가고 손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상으로 인해서 팔이나 어깨가 손상되지 않았는데도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은 다른 문제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일시적인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라면 며칠 정도만 지나면 증상이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팔에 힘이 안 들어가고 손통증 증상이 지속된다면 빨리 병원에 가셔서 증상을 진단하고 치료를 해야 합니다.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있을 때 팔이나 어깨에 문제가 있는 것 보다는 경추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 인체의 모든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되는 경추에 이상이 있을 때 신경의 압박으로 인해서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경추질환들 중에 대표적인 3가지 정도의 증상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변형성 경추증으로 인해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서 신경을 눌리게 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경추가 변형이 되면서 손이나 팔이 저릴 수 있고 찌릿찌릿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신경이 눌리게 되면 감각에도 이상이 생기기 때문에 근력도 저하기 되면서 손이나 팔에 힘을 주어도 힘이 빠지는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경추로 지나가는 신경은 손이나 팔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리의 신경과도 연결이 되어 있어서 다리에 힘이 빠질 수도 있습니다. 목뼈가 변형되면 혈액순환의 장애도 생기기 때문에 근육이 굳어지는 증상으로 인해서 근력이 더 많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경추질환은 목디스크 증상이 있습니다. 경부 추간판탈출증이라고 하는데 디스크가 탈출을 함으로써 신경을 눌리게 되면 감각신경에 문제가 생기가 어깨를 비롯해서 팔다리, 목에까지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팔에 힘이 안 들어가고 손통증이 있을 때 의심해볼 수 있는 질환이 목디스크 증상입니다. 신경이 심하게 눌리는 경우에는 손의 악력이 약해져서 젓가락질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척수가 압박이 되면 다리를 움직이는 것이 힘이 들 수 있습니다.

 


목디스크가 발생하는 원인은 퇴행성으로 인해서 추간판 탈출하거나 외상으로 인해서 파열이 되는 증상입니다. 디스크라고 하는 추간판이 탈출을 하게 되면서 신경을 압박하거나 수핵이 터져서 신경으로 흘러내리게 되면 감각의 마비 증상이나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세 번째, 팔이나 손이 마비되고 저린 증상을 일으키는 경추질환은 경부 척추관협착증입니다.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척추관이 좁아져서 척수 신경을 압박하게 되면 팔이나 손에 힘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척추관합착증이 발병하는 원인은 퇴행성으로 인해서 척추관이 좁아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고를 당해서 염증이 발생해서 척추관이 좁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경추 부위뿐만 아니라 척추 부위도 동일하게 척추관협착증이 있으면 하반신의 감각에 이상이 있거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목디스크 환자도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허리 디스크 환자의 발병률도 높아져서 허리 디스크 증상으로 인해서 심한 허리통증과 하체의 저림 증상과 마비 증상이 올 수 있습니다.

 


인체의 노화로 인해서 발생하는 퇴행성인 경우를 제외하고 경추질환이나 척추질환이 발생하는 원인은 외상이나 잘못된 자세로 등으로 인해서 발생을 하게 됩니다. 사고를 당해서 경추와 척추가 손상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잘못된 자세로 인해서 질환이 발생하는 것은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의자에 오래 앉아 있거나 바닥에 오래 앉아 있는 증상은 좋지 않습니다. 특히 현대인들은 의자에 오래 앉아 있는 습관 때문에 경추질환과 척추질환에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의자에 앉을 때는 엉덩이를 의자 뒤로 밀착시킨 후에 허리를 곧게 세워서 앉아야 합니다. 가슴은 앞으로 내밀고 어깨를 펴고 목을 세운 후에 턱을 당겨서 앉아야 합니다. 서 있을 때 자세도 마찬가지로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만 척추질환이나 경추질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의자에 앉아 있을 때 목을 거북이 목처럼 늘어뜨리고 있는 자세는 거북목증후근을 유발해서 목뼈의 변형을 가져오고 목디스크 질환에 걸릴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과 팔에 힘이 안 들어가고 손통증이 있는 증상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Comments